Sharing Info

작년보다 빨랐던 2023 첫눈 온 날 지역별 정리

써칭홀릭 2023. 12. 2. 21:04

작년보다 이르게 찾아온 첫눈으로 인해서 올해 벌써 첫눈을 보신 분들이 많으실 거라 생각됩니다. 작년과 올해의 첫눈 온 날을 지역별로 정리해서 올해의 첫눈이 얼마나 빨랐나를 알아보겠습니다.

 

 

 

 

2023 첫눈 온 날 지역별 정리

 

표 보는 방법 : 1) 지점 : 지역별, 2) 시작 : 첫눈 온 날, 3) 끝 : 마지막으로 눈이 관측된 날(통상적으로 다음 해)

해당 표의 내용은 출처 :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데이터:기상관측:지상:계절관측:자료]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지점은 지역별(ㄱ~ㅎ순)이며 표에서 시작에 기입된 내용이 눈이 처음 온날입니다. 시작과 끝은 평비로 구분되는데, 평비는 1991~2020년 평년값과 비교하여 빠르고 늦음을 계산한 값입니다. 평년에 비해서 첫눈과 마지막 눈이 빨리 왔구나 더 늦게까지 눈이 왔구나 등을 나타냅니다.

 

표에서 순번상 1번인 '광주'지역을 예로 설명해 보면, 광주는 올해 2023년에는 11월 17일에 첫눈이 왔으며 아직 겨울이 끝나지 않았기 때문에 눈이 마지막으로 온 날인 끝은 공란입니다. 광주는 작년에는 2022년 12월 6일 날 첫눈이 왔고 2023년 2월 23일에 마지막으로 눈이 관측되었습니다.

 

 

서귀포와 같이 올해 시작 날짜가 공란인 경우는 아직 첫눈이 오지 않은 지역을 의미합니다. 

 

 

2022년인 작년 겨울을 보면 11월 28일 북춘천을 시작으로 12월 22일 부산까지 첫눈 온날이 지역별로 많이 다른 걸 볼 수 있는데, 2023년인 올해 겨울은 11월 17일과 18일에 안동, 서귀포, 제주, 포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 거의 전국적으로 첫눈이 온 걸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작년보다 첫눈이 거의 열흘정도 앞당겨서 내렸으며, 평비를 보면 울릉도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마이너스(-)로 평년보다 이르게 내렸다는 걸 데이터상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을 기준으로 몇 년간의 첫눈 온날을 확인해 보면, 2018. 11. 24 / 2019. 11. 15 / 2020. 12. 10 / 2021. 11. 10 / 2022. 11. 29 / 2023. 11. 17일로 대체적으로 11월에 첫눈이 오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서울의 첫눈은 종로구 송월동 기상관측소에 눈이 관측될 때를 기준으로 한다고 합니다. 위 표를 보면 23곳의 관측 지점이 있는데 그 지점에 눈이 왔을 때를 기준으로 보면 됩니다. 

 

 

 

 

그 해 겨울이 시작된 후 처음으로 내리는 눈을 첫눈이라고 합니다. 첫눈에는 여러 가지 설도 많고 의미도 많은데 봉숭아 꽃물을 들인 손톱이 첫눈 올 때까지 남아있으면 사랑이 이루어진다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눈이 내리는 모습이나 소복하게 쌓인 눈을 보면 기분이 좋아지죠.

 

하얗고 깨끗한 눈처럼 모든 근심을 깨끗하게 지우고 올 한 해 좋은 마무리를 하시길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게시글의 모든 내용은 직접 검색하여 작성한 내용이므로, 참고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